a. 서비스 운영 안정성을 높이고 효율성을 개선
다양한 운영 이슈를 대응하거나 시스템화하여 고객 불편을 감소시키고, 반복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팀의 운영 부담을 줄였습니다.
b. 대량 처리 상황에서 성능 병목을 제거하고 안정적인 처리 성능 확보
배치, 이벤트 기반 처리, 캐시 전략, 쿼리 최적화 등을 통해 트래픽 분산과 응답 속도 향상을 동시에 달성했습니다.
c. 복잡한 도메인 구조 속에서도 유연한 확장성과 구조적 일관성을 확보
데이터 구조 간 연동, 실시간 색인, 리팩토링 등을 통해 효율적인 데이터 흐름과 유연한 기능 확장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d. 트래픽 급증, 동시성 문제 등 실시간 장애에 기술적으로 대응
시스템 병목 원인을 빠르게 분석하고, 트랜잭션 분리나 분산 락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신뢰성과 성능을 동시에 확보했습니다.
Kotlin
Spring Boot
AWS(Kinesis, S3, Parameter Store)
MySQL
Redis
Elasticsearch
Airflow
K8s
[내폰판매 - 택배 추적 API 마이그레이션]
2025.03 ~ 2025.06 / Kotlin, Spring Boot / 기여도 92% / 참여자: Frontend 1명, Backend 1명
배경:
- 기존 택배 추적 API 서비스의 계약 만료로 인해 대체 서비스 연동이 필요
- 레거시 코드에 히스토리가 전혀 없어 변경 시 서비스 장애 가능성이 매우 높음
수행 내용:
- 프론트엔드 개발자와 협업하여 사용 지면을 사전 조사하고, 연동 흐름에 영향도가 있는 영역을 식별
- 마이그레이션 계획 수립 및 문서화
- 테스트 환경에서 주요 케이스를 반복 검증
기술적 성과
- 서비스 장애 없이 새로운 택배 추적 API 서비스 연동 성공
- 레거시 코드 제거와 개선을 통한 유지보수 향상
[검수대행/매입위탁 - 상품 등록 / 상세 지면 내 서비스 신청 루트 개발]
2024.08 ~ 2024.10 / Kotlin, Spring Boot, Redis / 기여도 35% / 참여자: Frontend 1명, Backend 1명, iOS 1명, AOS 1명
개요: 버티컬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 향상과 더 빠른 접근을 통해 고객 확보를 하도록 신청 루트 확장
수행 내용:
- 단순 UI 개선이 아니라, 데이터 흐름과 전환 경로까지 설계 주도
- 매입위탁의 경우, 다른 지면에서의 유입 루트와 신규 유입 루트를 API 하나로 일관화하여 관리포인트의 최소화
정량적 성과:
- 모델 추천 API 적용을 통해 신청 데이터의 정확성 향상, 운영 부서의 재매칭 리소스 감소
- 매입위탁 서비스, 검수대행 서비스 기존대비 신청률이 각각 22.1%, 44% 증가, 매출 상승에 기여
[프로모션 - 퀴즈 기능 개발 및 동시성 이슈 개선]
2024.06 ~ 2024.07 / Kotlin, Spring Boot, Redis, Redisson, MySQL / 기여도 50% / 참여자: Frontend 1명, Backend 1명
배경:
- 인당 1번의 포인트 지급이 원칙이나, 일부 인원에게 포인트가 중복 지급되는 이슈가 발생
- 이미 DB 조회로부터 예외처리하도록 작성했었으며, 재현이 되지 않는 어려움이 존재
수행 내용:
- 중복 지급이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포인트 지급 API 호출 지연 로그 식별
- WebClient 호출을 트랜잭션 외부로 분리하여 외부 요인에 의한 트랜잭션 지연을 제거
- Redisson 분산 락을 활용하여 최초 요청만 지급 로직을 실행하도록 개선, ttl을 적절히 설정하여 장기 점유 및 시스템 부하 방지
기술적 성과:
- 퀴즈 참여 및 채점/보상 지급 기능 구현
- 포인트 중복 지급 이슈 해소
[카탈로그 - 모델 하위에 속한 상품 목록 어드민 검색 사용성 개선]
2024.02 ~ 2024.06 / Koltin, SpringBoot, Coroutine, Querydsl / 기여도: 70% / Frontend 1명, Backend 1명
배경: 상품 도메인 의존성 이슈로 어드민만을 위한 특정 필터를 제공하지 못하여 모든 페이지를 수기로 확인해야하는 비효율이 존재
수행 내용:
- DB 직접 조회, DW 우회(Redash, Redshift) 방안들을 검토 및 적용, 그러나 사내 인프라 이슈 및 사용성 문제로 철회
- 비동기 방식으로 전체 데이터에서 필터된 데이터만 ttl을 걸어 Redis에 적재하는 API와 페이징 처리된 결과를 내려주는 API를 개발, 클라이언트에서 폴링 방식으로 적재 완료를 확인하도록 설계
기술적 성과: 필터 제공을 위한 가장 최적의 프로세스 개발
정량적 성과: 개선 후 업무 효율 약 6배 향상, 월 1,440만원 인건비 감축
[매입위탁 - 실시간 통계 현황판 성능 개선]
2024.01 ~ 2024.01 / Kotlin, Spring Boot, MySQL / 기여도 95% / Backend 1명
배경: 서비스 복잡도가 올라감에 따라 쿼리 속도 저하 발생
수행 내용:
- 기존 쿼리를 분석하여 subquery를 join으로 대체, 인덱싱 전략 수정
- 그룹핑 로직을 어플리케이션에서 계산하는 방식으로 개선
기술적 성과: 평균 응답 속도 20초 이상 → 13초 이하로 단축
[카탈로그 - 홈탭 하이엔드관 오픈]
2023.07 ~ 2023.11 / Kotlin, Spring Boot, Redis, Elasticsearch / 기여도: 33% / 참여자: Frontend 3명, Backend 3명
배경:
- 하이엔드관을 구성하는 진열대를 개발하고, 실시간으로 시세와 상품 수를 노출하도록 구성
- 상품 수 색인시 상품 서버가 직접 모델 인덱스를 색인하는 구조로 인해 모델 인덱스 버전업 시점마다 상품 서버의 배포가 필요한 인덱스 버전 관리 이슈가 발생
수행 내용: Elasticsearch의 Alias와 write index 기능을 활용하여 배포 없이 자동 대응되는 구조로 개선
기술적 성과:
- 부서 간 배포 타이밍을 조율하는 피로도를 줄이고, 안정적인 색인 전환 개선
- 실시간 거래 시세 색인 프로세스 개발
- 인기모델 랭킹, 감가율 필터 개발
[카탈로그 - 상품 모델 연동 마이그레이션]
2023.03 ~ 2023.05 / Kotlin, Spring Boot, Redis, Elasticsearch, Airflow / 기여도: 50% / 참여자: Backend 2명
배경: 상품 데이터와 모델 간의 연동이 부족해 카탈로그 서비스를 내부 시스템에서만 활용하고 있어 사용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로 만들기 위한 초석 작업이 필요하여 마이그레이션을 시도
수행 내용: 상품 데이터를 모델과 매핑하고, 거래 내역을 저장하는 배치 개발
기술적 성과: 약 80만 건의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성공
[카탈로그 - 모델 일괄 등록 어드민 개발 및 네트워크 지연 이슈 개선]
2022.10 ~ 2022.12 / Kotlin, Spring Boot, MySQL, Elasticsearch, Airflow / 기여도: 50% / 참여자: Frontend 1명, Backend 1명
배경: 매달 몇천건의 모델을 등록하기 위해 개발자를 통해 처리하고 있어 업무 비효율이 존재
수행 내용:
- CSV 기반 일괄 등록 API 개발 및 히스토리 변경 이력 추가
- 이미지 처리 프로세스는 Airflow DAG로 위임 후 trigger하도록 개선
기술적 성과:
- 일괄 등록 기능 제공으로 등록 시간 대폭 단축
- 변경 이력 추적 가능해져 운영 신뢰성 향상
- 이미지 처리 프로세스를 비동기 처리함으로써 Latency p95 기준 75% 속도 향상
- 이미지 처리 프로세스 실패시 Airflow UI를 통해 쉽게 재처리 가능
[검수대행 - 실시간 통계 알리미 채널 구축]
2022.04 ~ 2022.05 / Kotlin, Spring Boot, MySQL, Querydsl / 기여도: 50% / 참여자: Backend 1명
배경: 검수 서비스 초창기 의사 결정에 필요한 지표 확인 요청이 종종 있어 팀에 제안 후 개발
수행 내용:
- 검수 항목 별 전일 대비 누적 현황 Slack 자동 보고 기능 개발
- spring scheduler와 shedlock을 사용하여 하나의 파드에서만 실행되도록 스케줄링 제어
정량적 성과: 사업팀, 기획팀의 의사결정 속도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