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Overview
Work History
Education
Skills
Additional Information
Timeline
Generic

Jisun Kim

Project Manager
Suwon

Summary

저는 다양한 프로젝트와 직무 경험으로 인해 개발 공정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리스크 감지 및 대응에 대한 탁월한 능력으로 많은 이슈 개선과 성과를 이끌어 냈습니다.


주도적이고, 빠른 판단력으로 리스크 대응 및 해결 능력이 탁월하며, 대규모 프로젝트 업무 경험으로 인해 멀티태스킹 및 마이크로 매니징에 능력으로 많은 성과를 냈습니다.


다양한 분야의 업무로 발전된 커뮤니케이션 능력으로 여러 이슈들을 해결하며, 항상 개선점을 도출하고 빠른 실행력으로 팀 업무가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개선하여 그 능력을 인정받기도 하였습니다.


어려운 일을 회피하거나 남에게 미루지 않고 제가 직접 도전하고 모범을 보일 수 있도록 업무를 추진합니다.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습득한 경험은 제 노하우로 자리 잡았으며, 프로젝트의 추진력과 윤활유가 되어줄 수 있는 project manager입니다.


Overview

13
13
years of professional experience

Work History

Project Manager

재직중인 회사
05.2024 - Current

개발 프로세스 수립 및 개선

- 프로젝트/파트별 프로세스 수립 및 개선

- 부서별 이슈 조율 및 업무 환경 개선

- 업무 방식 애자일 방식으로 도입 추진


프로젝트 일정 및 리스크 관리

- 리스크 감지 및 대응

- 효율적인 일정 및 계획 수립

- 지속적인 구성원 관리


Project Manager

미어캣게임즈
4 2023 - 04.2024

프로젝트 프로세스 개선 및 스프린트 관리
- 스프린트 일정 수립 및 조율
- 각 부서별 개발/제작 공정 개선
- 업무 진행 방식 및 볼륨 파악 후 단계별 일정 및 계획 수립


브랜치/빌드 버전/배포 관리

- git / Jenkins / teamcity 사용하여 관리

- 버전별 브랜치 운영 및 관리

- 브랜치별 형상관리 트래킹 및 관리


유관부서 커뮤니케이션

- 프로젝트 성과 및 목표 중심으로 유관부서별 업무 조율 및 리드


Project Manager Lead

NXN
02.2022 - 10.2022

Art PM team lead


프로젝트 프로세스 개선 및 마일스톤 관리
- 마일스톤 일정 수립 및 조율
- 프로젝트 방향성 및 일정에 대한 개선안 제시
- 각 부서별 개발/제작 공정 개선
- 업무 진행 방식 및 볼륨 파악 후 단계별 일정 및 계획 수립
- 효율적인 업무 일감 관리를 위한 일감 분류 및 세분화
- 팀 생산성 증가를 위한 전략 수립
- 개선 사항 도출 및 제안
- 업무 요청에 따른 일정 가이드 제시 및 개선

PM팀 프로세스 구축 및 개선
- 각 담당팀 업무 프로세스 구축 및 개선
- 유관 부서와의 협업 및 프로세스 구축 및 개선
- 커뮤니케이션 정책 수립 및 개선
- 부서별 이슈 조율 진행
- 팀원 가이드 교육

Project Manager

BigDipper
10.2020 - 12.2021

Development QA/PM
개발 QA / PM
- 프로그램팀 소속 QA파트장 (개발 PM업무 겸업)
- QA 프로세스 도입 및 관리
- 개발팀 레드마인 프로세스 도입 및 업무 플로우 프로세스 관리
- 개발팀 레드마인 업무 일감 프로세스 구축 및 관리
- 마일스톤에 따른 일정 조율
- 개발 QA 진행
- 개선안 도출 및 전달 : 다수 기획안 개선 및 시스템 개선사항 반영
- 라이브 이슈 확인 및 관리

Development QA Engineer

XLGAEMS
10.2017 - 10.2020

Content Development QA


국내 컨텐츠 개발 QA
(1년마다 담당 컨텐츠가 변경되는 팀 프로세스)
- 레벨, 퀘스트, 존 입장 제한 기능, 영지, 무역, 전투 기술 QA 담당
- 담당 컨텐츠 시스템에 문제 제기 후 개선
- 업데이트 일정에 따른 테스트 계획 수립 및 진행

Development QA Engineer

Blueside
05.2017 - 08.2017

Blueside Game QA Manager

Mission Part Leading and Responsible
Security QA Manager

미션파트 QA 담당자
- 대만 런칭 프로젝트 참여
- 미션파트 영역에 따른 QA리딩
- 업데이트 일정에 따라 컨텐츠QA 진행
- 기획서 리뷰 및 기획서 오류 검토
- 담당 컨텐츠 Testcase 작성 및 테스트 계획 수립
- 유관 부서와의 담당 컨텐츠에 대한 이슈 처리 방안 협의 및 일정 조율
- 내부BTS 이슈 등록 및 등록이슈 관리
- 내부 조직개편 당시 프로세스 개편 활동에 참여
- 러시아 이노바 퍼블리셔와의 미팅 참여

보안 QA 담당자
- 내부 코드 시그니처 시스템 테스트 담당하여 진행
- 내부 코드 시그니처 시스템 출력 로그 정리 및 배포
- 내부 코드 시그니처 시스템 테스트 가이드 문서 작성 및 배포
- 그 외 보안 관련 테스트 진행

QA Engineer

Nexon networks
04.2015 - 04.2017

Game QA Engineer

1. 메이플스토리 북미 QA
- 업데이트 일정에 따라 컨텐츠QA 진행
- 기획서 리뷰 및 기획서 오류 검토
- 담당 컨텐츠 Testcase 작성 및 테스트 계획 수립
- 테스트 환경 개선을 위해 명령어 아이디어 제안
- Jira에 이슈 등록 및 등록이슈 관리

2. 아틀란티카 북미 QA 담당
- 북미 법인과 직접 컨텍하여 프로세스 개선
- 기획서 업데이트 개선 및 전달되는 패치노트 상세화
- 테스트 계획 수립 및 프로세스 개선
- Testcase 작성 및 테스트 직접 담당하여 진행
- Jira에 이슈 등록 및 등록이슈 관리

아레나마스터즈 런칭 및 QA
- 런칭 프로젝트 참여
- 테스트 계획 수립 및 프로세스 개선
- 초기 개발단계에서 명령어 테스트 및 명령어 개선 작업
- Testcase 작성 및 테스트 가이드 문서 작성
- Jira에 이슈 등록 및 등록이슈 관리
- 테스트 일정 관련한 적극적인 의견 제시
- 프로젝트 회의 참석하여 개선사항 제시 및 일정 조율에 대한 의견 제시

Platform QA Intern

Nexon
01.2015 - 03.2015

Responsible for platform QA and web service


플랫폼 QA
- 넥슨 기업 홈페이지 리뉴얼 테스트
- 넥슨 홈페이지 웹 서버 이전 테스트
- 기획서 기반으로 직접 테스트 케이스 작성하여 테스트 진행
- 넥슨플레이 IOS 테스트 지원
- 넥슨플러그 테스트 지원
- 정기 점검시 점검 테스트 지원

Hacking Tool Reproduction and Test Engineer

AhnLab
09.2011 - 08.2013

Overseas Business Team
Game Security Department

Hackshield
- 담당게임 해킹툴 모니터링
- 해킹툴 재현
- BTS 이슈 등록 및 이슈 관리 및 수정 확인
- 수정여부 확인을 위해 핵쉴드 감지테스트
- 휴리스틱 코드 정리 및 문서 업데이트
- 해킹툴 패턴 정리하여 주간보고 진행
- 해킹툴 배포 사이트 관리 및 추적

AhnLab online Security (AOS)
- 키로킹 테스트 지원
- 테스트 결과 수집 및 결과 보고

Education

No Degree - Department of Hacking And Security

Hanyang Cyber University
Korea
04.2001 -

Skills

Redmine , JIRA , PMS

Slack , Teams

Svn, git, source tree

MS Office, google Apps

C# , R

Unreal / Unity / cry engine

Vmmap , injector

Project manager, quality assurance, hacking tool reproduction

Additional Information



  • 자기소개서

저는 어릴 적 어려운 집안 사정으로 적은 나이에 불구하고 일찍부터 사회에 뛰어들게 되었습니다.
그때의 경험으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고, 그 중에서 저를 대표하는 단어를 도전 정신과 열정을 꼽을 수 있습니다.


어릴 적에는 소극적이고 내성적이었지만, 경제적 사정으로 일찍부터 서비스 업계에서 일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서비스 업계에서 일하면서 무엇보다 ‘사람’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고, 서비스 업계에서 오랜 기간 경력을 쌓으면서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많이 발전되었습니다.


컴퓨터에 대한 관심이 많았으며, 진지하게 진로에 대해 고민을 하던 중 서점에서 우연히 읽게 된 ‘악성코드, 그리고 분석가들’이라는 책을 계기로 안랩에 단기 계약직으로 입사하였으며, 안랩 해외사업부서 게임보안 팀에 입사 당시에는 컴퓨터에 대한 지식이 많이 부족한 점을 느끼고, 근무시간 외적으로 컴퓨터 공부 및 많은 해킹툴을 실습하여 차츰 업무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었습니다.


기본적인 테스트 이외에도 기존 프로세스에서 효율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팀원분들과 상의하여 프로세스 개선 및 테스트 도구 개발에도 많은 의견을 제시하였습니다. 해킹툴에 존재하는 트랜드에 뒤처지지 않도록 다양하게 접근하여 수집하였으며, 테스트 진행시 일반 게임 해킹툴 이외에도 AOS(ahnlab online security) 프로그램 테스트, 키로깅 테스트를 지원하면서 부서 내에 전반적인 QA에 도움을 드릴 수 있었습니다.


그 결과 사내에서의 근면 성실함을 인정받아, 애초 1년간의 계약을 예외적으로 2년으로 연장하게 되어 더 많은 경험을 쌓을 수 있었습니다. 이후에는 컴퓨터에 대한 전반적인 부분을 공부하고자 한양사이버대학교에 해킹보안학과로 진학하게 되었습니다.


넥슨 플랫폼 본부 QA인턴으로 근무 당시 과장님의 권유로 넥슨 네트웍스 공채에 지원하게 되었으며, 넥슨 네트웍스에서는 PC온라인 게임인 메이플스토리와 아틀란티카 북미 국가 QA를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아틀란티카QA 진행 중 직접 북미 법인과 컨텍하면서 프로세스 개선에 많은 초점을 맞추고 업무를 진행한 결과 여러 번의 시도를 통하여 프로세스가 점차 개선될 수 있었습니다.


아틀란티카 프로젝트 서비스 종류 이후에는 `아레나 마스터즈` 모바일 게임 CBT 준비부터 런칭까지 캐릭터 밸런스/대전 게임모드 QA를 담당하였으며, 전반적인 게임 QA이외에도 테스트 환경 개선 및 게임에 대한 개선 사항을 적극적으로 전달하여 개선하였습니다.


담당하던 프로젝트가 서비스 종료로 새로운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시점이었으며, QA로서 전문성을 다지고 있는 단계에서 조금 더 개발팀과 근접한 상황에서 효율적인 업무를 진행하면서 지금보다 깊고, 다양한 환경에서 테스트를 할 수 있는 개발 QA로 이직을 고민하였습니다.


그 무렵 블루사이드에서 면접 제의를 받았으며, 블루사이드 팀장님과의 대화에서 다양한 QA 업무를 할 수 있는 환경이었기 때문에 발전의 의미로 이직을 선택하게 되었으나, 경영 문제로 월급 수령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여 이직을 하게 되었습니다.


엑스엘게임즈에서는 담당자 역량에 따라 컨텐츠의 품질이 달라질 수 있는 팀 프로세스이기 때문에 본인 담당 컨텐츠의 업무 일감에 따른 일정 및 테스트 방향을 설정하여 진행하며, 정해진 일정으로 개발되는 컨텐츠 이외에도 기존 게임 시스템 문제점에 대해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의견을 전달하여 기존에 개선이 되지 않았던 시스템을 개선하기도 하였습니다.


저는 프로젝트의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방법을 끊임없이 연구하면서 테스트에 필요한 도구 제작에 필요한 언어에 대해 공부하였고, 기술적인 측면 이외에도 밸런스와 재미 요소를 고려하여 QA를 진행하면서 많은 개선안이 반영되었습니다. 안정성과 게임성을 갖춘 컨텐츠가 제공할 수 있도록 문제점에 대한 진단과 함께 적극적인 의견 전달로 타 부서와의 협업을 이끌어 내어 더욱 좋은 컨텐츠가 될 수 있도록 개선하였습니다.


이후 근무하는 회사에서 개발 PM 업무 요청을 받아 PM으로 근무하면서 보다 효율적인 개발이 진행될 수 있도록 프로세스 개선 및 도입에도 많은 의견이 반영되었습니다.


개발 일정 및 업무 관리를 위해 레드마인 프로세스를 도입 및 구축하여 원활하게 일감이 진행될 수 있도록 관리하였습니다.
효율적으로 개발이 진행될 수 있도록 리뷰 회의 활성화하며, QA경험으로 예상되는 로직 구조에 대한 리스크 및 기획 개선안을 적극적으로 제시하였으며, 개발 중인 프로젝트의 게임성 검증을 위해 사내 테스트 계획 수립하여 진행하기도 하였습니다.


사내테스트 이후 전달된 피드백을 가공하여 개발팀 내에 전달하였으나 이후에도 개선이 시급한 영역은 별도로 테이블 값을 변경하여 별도 모드를 제작하여 시연하였으며, 이후 의견이 반영되어 개선되기도 하였습니다.

마일스톤 단위로 목표버전을 분류하고, 마일스톤의 타겟으로 설정된 볼륨이 큰 일감 기준으로 하위 일감을 분류하면서 마일스톤 일감 내에서 전체 볼륨을 파악할 수 있도록 연결 및 관리하였으며, 일감에 제목 규칙 및 내용과 일감 진행시 히스토리가 일감에 기록될 수 있도록 유관 부서에 가이드하여 프로세스를 구축하였습니다.


처음에는 레드마인 도입 시점에 일부 반대와 번거로움 대한 의견이 많았으나, 프로젝트의 일감과 이슈의 히스토리의 중요성 그리고 일감 관리의 중요성을 전달하면서 점차 번거로움에서 필수로 기록하는 프로세스로 정착시킬 수 있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많은 도움을 주신 구성원 분들과 저의 포기하지 않는 근성과 추진력으로 프로세스를 도입시킬 수 있었습니다.


1. 마일스톤 일정에 따른 기획 방향성 확정
2. 각 파트별로 기획서 검토 및 작업 소요 일정 산출 요청
3. 우선순위 조율 및 전체적인 일정 조율 진행
4. 일정 회의를 통해 해당 마일스톤에 따른 일정 세분화 정리
5. 레드마인 일감 등록/전달/관리
6. 이후 개발 과정에 따른 일정 조율이 필요하다면, 해당 담당자와 협의 또는 PD님과 협의하여 일정 조율 진행
7. 기본적인 일정 조율 이외에도 개발실 프로세스의 개선 사항은 적극적으로 제시 및 반영


기본적인 기존 마일스톤 설정과 일감 발행까지의 과정이며, 위 과정에서 각 파트별 또는 PD님과의 의견 조율 필요시 문제의 본질적인 부분을 찾아내며,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 일정 내에 개발이 원할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이끌어냈습니다.

엔엑스엔에서 초기에는 개발 PM으로 입사하였으나, 조직 개편 이후 PM팀은 아트 그룹 소속으로 변경되었습니다. 기존 경험으로 개발 직군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으며, 아트 제작 공정에 대해 집중하여 업무를 진행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입사 초에는 모든 부서에서 엑셀로 업무가 관리되고 있었으나, 이후 내부에서 제작한 프로젝트 매니징 툴을 개발 개선에 참여하여 점차 내부에서 사용이 용이한 툴로 정착될 수 있었습니다.

이후에는 업무 분류 및 관리와 팀별 업무 프로세스 구축 및 개선을 하였으며, 제작 기준에 따른 공정 단계와 소요 일정을 기반으로 마일스톤을 수립하였으며, 마일스톤 이후 제작 기준에 따른 실 제작일을 분석하여 오차범위를 줄이는 작업을 하였습니다. 해당 과정을 통해 생산성 검증과 개선 전략을 수립할 수 있었습니다.

이전 QA업무 경험을 통해 개발 구조와 검증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며, 경험에 따른 이슈의 중요도 및 우선 순위에 대한 판단력으로 일정 내에 효율적인 개발이 진행될 수 있도록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모바일, 게임 등 여러 분야의 업무 경험이 있으며, 다양한 환경에서 습득한 quality assurance 와 project manager 경험은 제 노하우로 자리 잡았습니다.


저는 남들과 다른 출발선과 환경이었기 때문에 항상 치열하게 발전할 수 밖에 없었으며, 여러 요소들로 인해 주도적인 성향이 발전되었습니다. 탁월환 적응력과 판단력 그리고 분석력으로 그동안 다양한 프로젝트의 직무를 하면서 성과를 낼 수 있었습니다.


현재에 안주하지 않고, 믿을 수 있는 열정적인 인재를 찾으신다면 제게 면접의 기회를 주셨으면 합니다.







Timeline

Project Manager

재직중인 회사
05.2024 - Current

Project Manager Lead

NXN
02.2022 - 10.2022

Project Manager

BigDipper
10.2020 - 12.2021

Development QA Engineer

XLGAEMS
10.2017 - 10.2020

Development QA Engineer

Blueside
05.2017 - 08.2017

QA Engineer

Nexon networks
04.2015 - 04.2017

Platform QA Intern

Nexon
01.2015 - 03.2015

Hacking Tool Reproduction and Test Engineer

AhnLab
09.2011 - 08.2013

No Degree - Department of Hacking And Security

Hanyang Cyber University
04.2001 -

Project Manager

미어캣게임즈
4 2023 - 04.2024
Jisun KimProject Mana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