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view
Work History
Education
Skills
Timeline
Generic

Junwoo LEE

Undergraduate Student
Changwon

Overview

2026
2026
years of professional experience

Work History

[2024 / 대외활동] 뤼튼 AI 아이디어톤

생면부지인 대학생 형, 누나를 링커리어 온라인 취업 플랫폼에서 만나 예선 대회를 함께 준비하여 본선에 진출하였습니다. 생성형 AI 스타트업인 뤼튼이 시장을 선도하는 플랫폼이 될 수 있도록, 현재 상태에서 5,000만 MAU를 달성할 수 있는 전략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 대회 본선 주제였습니다. 저녁 6시부터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그다음 날 오전 11시에 발표를 진행하는 무박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밤을 새고 피곤한 상태에서 생각을 쥐어짜며 어떻게든 노트에 글을 적어가던 기억이 납니다. 이 대회에서 제가 얻은 가장 큰 배움은, 지치지 않고 미소를 머금으며 끝까지 진행하던 다른 학생들을 보며, 대회 이후 돌아와 제 스스로에 대한 한계를 많이 깨부술 수 있었던 소중한 경험이 되어주었다는 점입니다.


[링크] : https://wrtn.io/%ea%b5%ad%eb%82%b4-%ec%b5%9c%ec%b4%88%ec%9d%98-%ec%83%9d%ec%84%b1-ai-%ec%95%84%ec%9d%b4%eb%94%94%ec%96%b4%ed%86%a4/

[2024 / 대외활동] Wrtn Gen AI Campus Leader 1기

03.2024 - 08.2024

대외활동을 진행하며,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법과 Zero-shot, Few-shot 학습 방식의 차이를 주제로 한 과제를 수행하며, 타 대학 학생들과 5인 팀을 구성해 온라인 협업을 통해 AI 플랫폼 기반의 페르소나를 기획하고, 사용자 감정 흐름에 초점을 둔 시나리오를 공동으로 작성하였습니다. 해당 프로젝트의 결과물은 창원대학교에서 개최한 아이디어톤 대회를 통해 발표되었으며, 저는 주최 측 일원으로서 장소 대관, 심사위원 섭외, 대회 물품 준비, 현수막 제작, 행사 운영 등 전반적인 대회 기획과 실행을 주도하였습니다. 특히, 경상남도 내 AI 기업 회장님을 심사위원으로 초청하는 등의 대외 협력을 통해 대회의 전문성과 네트워킹 기회를 높였고, 지원한 두 팀 중 한 팀이 연세대학교 결선 진출에 이르도록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였습니다. 이 대외활동을 통해 얻은 가장 큰 부분은, 타 대학 학생들의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식과 생산성 높은 협업 도구 활용법을 직접 경험하며 큰 동기부여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2024] 자율주행로봇대회

11.2024 - 11.2024

아두이노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거리측정 기반 로봇제어를 하였습니다. 간단한 로직을 C++언어로 작성하였습니다.

예를들어, 초음파 센서에서 상대로봇이 파라미터 값을 구간별로 나누어, 거리가 짧으면 직진을 하도록 거리가 멀리 측정이 되면 제자리에서 360도 회전을 하도록 하여 상대 로봇을 찾도록 하였습니다.


[링크] : https://enchanting-trawler-42d.notion.site/2024-Autonomous-Robot-Competition-134c351ecc1d80edaa90f81f7ace9d0b

[2024] 3학년 캡스톤 디자인

ROS2와 Gazebo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TurtleBot3 기반 자율주행 로봇을 구현하였습니다. LiDAR 센서를 이용해 벽면과의 거리를 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충돌을 회피하는 주행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습니다. Gazebo 환경 내에 가벽을 배치하여 미로를 형성한 뒤, SLAM 기반 매핑을 수행하였으며, RViz2 상에서 A* 알고리즘을 통해 경로 계획이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시각적으로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Gazebo에서 생성한 미로 지형을 Bird's Eye View로 촬영한 후, 이를 이진 이미지(Binary Image)로 변환하여 벽과 경로를 명확히 구분하고, 해당 이미지를 기반으로 A* 알고리즘을 다시 한 번 구현해보는 실습도 진행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SLAM, 센서 처리, 시뮬레이션 환경 구성, 경로 탐색 알고리즘의 전 과정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적용해보았습니다.


[링크] : https://puffy-singer-22f.notion.site/3rd-Year-Autonomous-Driving-Capstone-Design-Project-141b522e3ded80a99d35e2fdec65772a

[2024 Aug~] 개인 학습 블로그

07.2024 - Current

학과 공부와 개인 희망 공부 내용을 적고, 기록하는 공부의 흔적을 남기는 블로그를 하고 있습니다. 복기하기 용이하게끔 만드는 것이 주된 이유입니다.


[링크] : https://2wnswoo.tistory.com/

[2025] 스코틀랜드 해외 단기 연수

2025.01.18.~26 총 9일간,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및 에든버러에서 진행된 제어 이론 중심의 단기 연수에 참가하여 개인적으로 논문을 찾아보며, 자율주행 시스템 구현과 관련된 SLAM 기반 경로 계획, PID 제어, Damping 시스템, 폐쇄 루프 제어 등 핵심 제어 이론을 학습하였습니다. 또한, 교수님을 통하여 효과적인 논문 분석 및 발표 기법을 익히고, PID 제어 기반 차선 추적 논문과 DNN-기반 충돌 회피 제어 논문을 리뷰하며 자율주행 기술의 이론과 실제 적용 사례를 폭넓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링크] : https://candle-rainforest-553.notion.site/Study-abroad-in-Scotland-Glasgow-and-Edinburgh-18155690b6fc804cb00bf6bac543988b

[2025 / 온라인 강좌] 자율주행 제어 이론 및 실습 수료

한경석 교수님의 자율주행 차량 제어 기술에 대한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며, 자율주행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조와 핵심 제어 이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였습니다. 자율주행 기술 개요와 ADAS(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의 기능을 이해한 뒤, 차량의 종·횡방향 동역학 모델 기반 제어기 설계 이론을 익혔으며, PID, Pure Pursuit, Stanley, MPC 등 주요 경로 제어 알고리즘의 원리와 적용 방식에 대해 학습하였습니다. 또한 Simulink를 활용한 "아주 기초적인 수준의" 제어기 모델링, 코드 자동 생성, SIL/PIL, HIL 실습을 통해 시뮬레이션 기반의 제어기 설계 및 검증 절차를 실습 차원에서 경험하였습니다.


[수료증] : https://2wnswoo.tistory.com/298

[2025 / 온라인강좌, On-going] 현대 딥러닝 구조의 이해와 응용

컴퓨터 공학과 학생들에 비해 기계공학부에서 배우는 내용에 학문적 갈증을 느껴, 이장원 교수님의 강좌를 통하여, 최신 딥러닝 모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무 적용을 위한 기초 역량을 다지기 위해 MLP, CNN, RNN, Transformer 등 주요 아키텍처의 원리와 동작 방식에 대해 이론 중심으로 학습하는 온라인 강의를 이수중에 있습니다. 다층 퍼셉트론(MLP)의 구조와 역전파 알고리즘을 시작으로, CNN의 기본 구조와 이미지 처리에 활용되는 VGG, ResNet, Inception 등의 현대적 모델에 대해 이론적으로 이해하였으며, RNN, LSTM, GRU와 같은 순환 신경망 구조 및 시계열 데이터 처리 방식, 그리고 Transformer와 Attention 메커니즘의 개념과 자연어 처리에서의 응용 방식까지 폭넓게 학습하였습니다.


특히 ViT 는 관련 최신 논문 리뷰를 해보며 울산과학기술원 학부생과, 창원대학교 김병욱 교수님과 함께 논문리뷰를 진행하였고, 중간중간에 질문을 해주시면 바로 답하는 방식으로 진행을 하였었습니다. 현재 이수를 하기위한 마지막 조건인, CIFAR-100 데이터셋을 활용한 다중 클래스 이미지 분류 과제만을 남겨두고 있습니다.


[논문리뷰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kcp36_Xtr1U&embeds_referring_euri=https%3A%2F%2Fsites.google.com%2F&source_ve_path=Mjg2NjY

[2025 / 온라인강좌, Ongoing] 강화학습

김정현 교수님의 강화학습 강좌를 듣고 있습니다.

Action, Policy, Reward, Situation 관련된 함수와 수식을 직접 적어보고, 대표적인 모델프리 방식중에 2025 국민대학교 자율주행 예선과제#1, 유니티로 만들어진, 카메라 센서가 달린 차량이 중앙 점선과 양측의 실선을 넘지 않도록 어떠한 방식이 좋을까? 고민을 해보고 TD방식이 실시간으로 나아가면서 지속적으로 정책이나 가치함수를 업데이트를 할 수 있으므로 좋겠다는 판단하여, 코드를 작성 수정을 거쳐보는 경험을 가졌었습니다. 로직은, 도로의 중앙 점선을 따라 잘 주행할 수 있도록 중앙에 가까우면 Positive Reward를, 실선에 점점 가까워지면 Negative Reward를 주게 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좋은 결과는 있지 않았지만, 온라인 강좌를 들은 내용을 적용을 해봤다. 정도의 만족감을 느끼게 해주었습니다. 현재 수료는 하지 못하였고, 진행중입니다. 총 15주차 강의 중 5주차까지 완료하였습니다. | 최종 작성일 : 25.05.26

[2025 / 오프라인 강의 3일] MicroAutoBox (dSPACE) 교육 이수

울산대학교에서 진행한, HILS( Hardware In the Loop System) 의 대표 장비인 dSPACE사의 마이크로 오토박스를 직접 운용해보는 경험을 3일간 진행하였었습니다. MIL 과 SIL의 차이가 어떤건가요? 부터 다양한 질문을 하였더니, 전문가분들께서 좋은 답변을 해주셨고 명함까지 받았던 시간이였습니다.


[링크] : https://2wnswoo.tistory.com/187

[2025 Jan ~ ] 자율주행 팀 리더

Classmates
01.2025 - Current
  • [링크] : https://sites.google.com/view/autonomous-robotics-teamu/home

Education

Bachelor of Science -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04.2001 -

Skills

C, Python, ROS [중급]

Timeline

[2025 Jan ~ ] 자율주행 팀 리더

Classmates
01.2025 - Current

[2024] 자율주행로봇대회

11.2024 - 11.2024

[2024 Aug~] 개인 학습 블로그

07.2024 - Current

[2024 / 대외활동] Wrtn Gen AI Campus Leader 1기

03.2024 - 08.2024

Bachelor of Science -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04.2001 -

[2024 / 대외활동] 뤼튼 AI 아이디어톤

[2024] 3학년 캡스톤 디자인

[2025] 스코틀랜드 해외 단기 연수

[2025 / 온라인 강좌] 자율주행 제어 이론 및 실습 수료

[2025 / 온라인강좌, On-going] 현대 딥러닝 구조의 이해와 응용

[2025 / 온라인강좌, Ongoing] 강화학습

[2025 / 오프라인 강의 3일] MicroAutoBox (dSPACE) 교육 이수

Junwoo LEEUndergraduate Student